02-1. 큰 범주에서부터 작은 범주 순으로 경험을 나열합니다.

- 대학
- 경력
- 건아정보기술 인턴
- 건아정보기술 사원
- 1년
- 깃 도입 건의
- 팀 협업 시 수동으로 코드를 병합하여 개선하기 위해 깃 테코톡 공유
- 실제로 팀에 도입되기 전에 나욌지만, 도입하기까지 배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생각
- Sigma2.0 업그레이드
-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게 되면서, 이전 버전의 DB 구조를 개선하는 업무 담당
- 이전의 모든 프로젝트를 분석하며 팀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의 히스토리 파악
- 도메인이 얽혀 있는 것에 대한 어려움 인지
- 노원구청 프로젝트 참여
- 프로젝트 기획부터 개발, 유지보수까지 참여한 경험
- 클라이언트와 직접 마주하며 요구사항 분석
- 인천공항 권한 관련 기능 유지보수
- 부트캠프
- 우아한테크코스 4기 백엔드
- 10개월
- 이펙티브 자바 스터디
- 모모 프로젝트
- 스프링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(+ 톰캣 구현하기)
- 트랜잭션 직접 구현하기
- 과제(미션) 중심의 강의
- 페어 프로그래밍
- TDD
- 협업경험
- 코드리뷰
- 깃허브 이력 정리
- 현대IT&E MSA 기반 Fullstack 양성과정 (SeSAC)
- 5개월
- 알고리즘 스터디
- 1차 프로젝트 - H-Mingle
- Spring Framework, Tomcat, MyBatis, Oracle, Docker 첫 사용
- Oauth2.0 로그인 구현
- 2차 프로젝트 - Dinosoul
- 학습 1주만에 Kotlin 안드로이드 구현
- MVVM 모델 사용
- 프레그먼트 전환으로 액티비티 사용률 줄여 리소스 감소
- 3차 최종 프로젝트 - The Pop
- 팀장 경험
- 장려상 수상
- AWS S3, SES, ELB 등 다양한 AWS 기능 활용
- ChatGPT 를 이용한 컨텐츠 요약 기능
- Jira, Confluence 를 활용하여 스프린트 관리
- 서비스 플로우, WBS
- 로드밸런싱 및 블루그린 무중단 배포
- Java, Spring Legacy, MyBatis, Oracle, Docker
- 깃허브 이력 정리
- 프로젝트
- 외부활동
- 네트워크 스터디
- 첫 리더 경험
-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
- 정해진 분량 만큼 읽고 정리해온 뒤 팀원들에게 설명, 인터뷰 형식 진행
02-2. 각 경험의 Fact와 Lesson을 정리합니다.
<aside>
💡 Q. Fact / Lesson 이란 무엇인가요?
- Fact : 객관적인 지표, 성과, 결과물과 같이 양적인 요소
- Lesson : Fact를 통해 깨달은 점 / 후회한 점 / 인사이트 등 질적인 요소
</aside>
버전관리도구 도입 건의
Fact
Lesson
- 팀 협업 시 수동으로 코드를 병합하여 개선하기 위해 깃 테코톡 공유
- 실제로 팀에 도입되기 전에 나욌지만, 도입하기까지 배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생각
Legacy Database 구조 Refactoring 을 통한 도메인 결합성 감소
Fact
Lesson
-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게 되면서, 이전 버전의 DB 구조를 개선하는 업무 담당
- 이전의 모든 프로젝트를 분석하며 팀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의 히스토리 파악
- 도메인이 얽혀 있는 것에 대한 어려움 인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