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ORY 04 프로바이더의 내부
1. POP 와 NOC

- 액세스 회선을 통과한 패킷은 프로바이더의 라우터에 도착한다. (인터넷의 입구)
- 인터넷은 다수의 프로바이더 네트워크를 서로 접속한 것이다.
- POP(Point Of Presence) : 사용자가 계약한 프로바이더의 설비 (ADSL 이나 FTTH 의 액세스 회선이 연결)

- POP 는 다음과 같이 액세스 회선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여러 라우터로 구성되어 있다.
- 전용 접속 회선 : 통신 회선용 포트를 장착한 보통의 라우터 사용한다.
- 본인 확인이나 설정값 통지 등의 기능이 없다.
- 다이얼업 회선 : 전화 회선이나 ISDN 회선 등의 다이얼업 회선을 사용할 경우
RAS
라는 라우터를 사용한다.
- 사용자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는 기능이 있다.
- P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패스워드의 확인과 설정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이 있다.
- PPPoE : BAS 에서 필요 기능을 담당하여 보통의 라우터를 사용한다.
- 본인 확인이나 설정값 통지 등의 기능은 각각의 BAS 에 있다.
- PPPoA : 보통의 라우터를 사용한다.
- DSLAM 에서 ATM 스위치를 경유하여 ADSL 사업자의 BAS 에 연결하고, 그곳에서 프로바이더의 라우터에 연결한다.
- 사용자 측에서 오는 신호의 경우 ADSL 모뎀에서 패킷을 ATM 의 셀에 저장한 후 신호로 변환하고, DSLAM 에서 그 신호를 셀로 복원한다.
- 그리고 ATM 스위치에서 BAS 에 셀을 중계하고, BAS 에서 패킷으로 복원한 후 프로바이더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인터넷의 내부로 진행한다.
- 가장 왼쪽의 라우터는 프로바이더의 중심이 되는 NOC 나 다른 POP 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한다.
- 여러 요청이 모이는 라우터이기 때문에 회선에 연결되어 있는 라우터보다 패킷 중계 능력이나 데이터 전송 능력이 높은 기종이 적합하다.
- NOC(Network Operation Center) : POP 에 들어온 패킷이 모이며, 목적지 근처에 있는 POP 나 다른 프로바이더로 전송한다.
- NOC 와 POP 는 엄밀하게 구분하기 어렵다.
- NOC 규모 > POP 규모
2. 건물 밖은 통신 회선 등으로 접속한다
- 프로바이더들은 다른 스위치나 라우터처럼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한다.
- 단, 프로바이더의 네트워크는 패킷의 양이 많아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 아닌,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한다.
- 자사에서 광섬유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직접 광섬유로 연결한다. (대형 프로바이더)
- 광섬유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대형 프로바이더의 광섬유 내부에서 일부를 제공받아 사용한다. (통신회선)
STORY 05 프로바이더를 경유하여 흐르는 패킷
1. 프로바이더끼리의 접속
- 송신하려는 목적지가 같은 프로바이더인지, 다른 프로바이더인지에 관계없이 라우터 중계 과정을 통해 전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