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대칭키 : 같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/복호화 적용
- 비대칭키 : 다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/복호화 적용
- 전자 서명을 위한 알고리즘에서는
Private Key
로 메시지를 서명하고, Public Key
로 검증
- 메시지 교환에서는
Public Key
로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Private Key
로 복호화

대칭키 암호화
- 종류 : AES128, AES256, SEED (국내표준)
- 암호화/복호화 키가 같음
- 문제점은 수신측에 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우려가 있음
- 예)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한 키와 서버에서 복호화하는 키가 동일할 경우 비밀번호 유출 가능성이 높아짐
- 스트림기반, 블록기반의 암호화로 나눌수 있음

비대칭키 암호화
- 종류 : DSA (전자서명), RSA (메시지 암호화/복호화)
- 대칭키에 비해서는 느림
- 키 생성 시
Private Key
와 Public Key
2개의 키가 도출되며, Public Key는 공개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.
- 인수분해, 이산대수, 타원곡선 암호화로 나뉨
Public Key
로 암호화 후(통신 안전) Private Key
로 복호화하여 원문을 해독

https://velog.io/@inyong_pang/Programming-암호화-알고리즘-종류와-분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