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pstream, origin
- git push -u origin main
- origin 저장소 main 브랜치에 push
- -u : —set-upstream → 로컬 저장소보다 원격 저장소가 상류임을 나타냄(최초 1회 사용)
- woowacourse → 내 원격 저장소 → 로컬 저장소
- upstream 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현재 위치로부터 상류임을 의미
- 하나의 저장소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는 것을 따와 upstream 의 용어를 사용
- 깃 클론 시 자동으로 upstream 관계가 설정됨
add, commit, push
- git init : 해당 명령어 실행 시 현재 디렉토리 내
.git
디렉토리에 깃 저장소 정보 저장(로컬 저장소)
- git 객체 : blob, commit, tree, tag

- branch : 커밋 객체에 대한 참조(객체x)
commit


- add 된 파일은 git 관리 대상이 된다 → add 를 사용하여 관리할 파일을 선택한다
- add 시 index, objects 생성
-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고 커밋하면 git 은 전체 파일을 저장한다(변경사항x) → 커밋이 여러개 쌓여있을 때 커밋을 되돌리면 모든 변경사항을 비교하고 파악해야 하므로 전체 파일 저장
- 파일 별로 tree 객체를 가지고 있음
학습 내용